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마크다운
- java
- 배열
- @ComponentScan
- 정렬
- 자료구조
- @NoArgsConstructor
- mysql
- 내부 정렬
- 빅 오 표기법
- 클린코드
- CleanCode
- 리스트
- 쿠키
- 코드
- 계산 검색 방식
- query
- @RequiredArgsConstructor
- 인터페이스
- 쿼리메소드
- JsonNode
- 마크다운 테이블
- 선형 리스트
- code
- 연결 리스트
- 트리
- 클래스
- 클린
- WebClient
- 스택 큐 차이
- Today
- Total
목록개발자답게 (13)
Developer Cafe
역사 1950년 미국의 수학자 Stephen에 의해 개발되어, 초기엔 유닉스 계열에서 이용되어지다 현재는 java, python, js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패턴 // 안에 찾고자하는 텍스트를 넣고 뒷 / 뒤에 패턴을 입력한다 문법 ex) /gr(e|a)y/ 또는 /gr[ea]y/ ----------> grey, gray 가 찾아짐 ex) /gr(?:e|a)y/ 은 grey, gray 을 찾되 기억하지는 않는다 라는 뜻이다 ex) /gr[a-zA-B0-5]y/ 라는 뜻은 gray ~ grzy 까지 찾고 grAy ~ grBy까지 찾고 gr0y ~ gr5y 까지 찾는다 ※ 위의 /gr[a-zA-B0-5]y/의 반대는 /^gr[a-zA-B0-5]y/ 이다 ex) /gra?y/의 뜻은 a가 없거나 있거나 라는 ..
TTV 사용자가 화면을 보는 시점 TTI 사용자가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점
SPA(single page application) 한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만 업데이트해서 보여주는 방식 CSR(client side rendering) 서버에서 html을 받아와 적힌 js주소를 서버요청해 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최종적인 어플리케이션을 보여준다. 서버에 정보를 넘겨야 처음보이는 화면을 나타낼 수 있기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다. html에는 어느 정보를 받아와야된다는 것만 적혀있기에 검색엔진같은 기능구현이 어렵다. (Low SEO) SSR(server Side Rendering) 사이트 주소요청시 서버가 필요데이터를 받아 바로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해주는 방식 CSR보다 더 빠르게 사용자에게 화면을 보여줄수있다. html에 모든 정보가 담겨져 있게에 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