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ebClient
- 트리
- 코드
- 클린코드
- 쿠키
- CleanCode
- 마크다운
- @RequiredArgsConstructor
- java
- 자료구조
- 클래스
- 스택 큐 차이
- 연결 리스트
- 내부 정렬
- code
- mysql
- @ComponentScan
- 마크다운 테이블
- 인터페이스
- query
- @NoArgsConstructor
- 클린
- JsonNode
- 정렬
- 배열
- 빅 오 표기법
- 쿼리메소드
- 계산 검색 방식
- 선형 리스트
- 리스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9)
Developer Cafe
창발성(Emergence) 단순한 결합이 복잡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의 뇌를 예로 들면 하나의 뉴런은 인식능력이 없지만 수십억개의 뉴런이 결합하게 되면 자기 인식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 이 창발성은 명령을 내리는 조정자 없이 각 부분의 의사소통으로 자기 조직화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밑으로 부터의 힘은 예기치 못한 기능을 발현하는 힘쉽게 생각하면 집단 지성과 같은 것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 것. 즉 창발적 설계란 어떤 규칙과 원칙에 따라 설계를 하게 되면, 그것들이 모여 아주 좋은 거시적 설계가 된다고 보면 될 듯. 우리들 대다수는 켄트 벡이 제시한 단순한 설계 규칙 네 가지가 소프트웨어 설계 품질을 크게 높여준다고 믿는다. * 모든 테스트를 실행한다. * 중복을 없앤다. *..
JAVA Convention에 따르면 가장 먼저 변수 목록이 나온다. static public --> static private --> private 인스턴스 --> (public은 필요한 경우가 거의 없다) 변수목록 다음에는 공개 함수가 나온다. 비공개 함수는 자신을 호출 하는 공개 함수 직후에 나온다. 즉, 추상화 단계가 순차적으로 내려간다. 캡슐화 변수와 유틸리티 함수는 가능한 공개하지 않는 편이 낫지만 반드시 숨겨야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 테스트는 중요하므로 테스트를 위해 protected로 선언해서 접근을 허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비공개 상태를 유지할 온갖 방법을 강구하고, 캡슐화를 풀어주는 결정은 언제나 최후의 수단이다. 클래스는 작아야 한다! 클래스는 첫째! 작아야한다. 둘째! 작아야한..
TDD 법칙 세 가지 첫째 법칙: 실패하는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까지 실제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다. 둘째 법칙: 컴파일은 실패하지 않으면서 실행이 실패하는 정도로만 단위 테스트를 작성한다. 셋째 법칙: 현재 실패하는 테스트를 통과할 정도로만 실제 코드를 작성한다. 위 세 가지 규칙을 따르면 개발과 테스트가 대략 30초 주기로 묶인다. 테스트 코드와 실제 코드가 함께 나올뿐더러 테스트 코드가 실제 코드보다 불과 몇 초 전에 나온다. 이렇게 일하면 매일 수십 개, 매달 수백 개, 매년 수천 개에 달하는 테스트 케이스가 나온다. 실제 코드를 사실상 전부 테스트하는 테스트 케이스가 나온다. 하지만 실제 코드와 맞먹을 정도로 방대한 테스트 코드는 심각한 관리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테스트는 유연성, 유지보수성..
오류 처리는 중요하다. 하지만 로직을 헷갈리게 만드는 오류처리는 나쁘다. (Error handling is important, but if it obscures logic, it's wrong.) 리턴코드 대신 Exceptions를 사용하라 예전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exceptions를 제공하지 않았다. 그 경우, 개발자들은 에러 flag를 set하거나 에러 코드를 리턴, 호출하는 측에서 예외처리를 해줘야 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예외처리를 잊어버리기 쉽고 로직을 헷갈리게 하기 쉽다. 그러므로 exceptions를 사용하자. 겉보기에만 아름다운 코드가 되는게 아니라 "실제 로직"과 "예외처리" 부분이 나뉘어져 필요한 부분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 Bad public class DeviceCont..
디미터 법칙 디미터 법칙은 잘 알려진 휴리스틱heuristic(경험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학습하거나 발견해 내는 방법)으로,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는 법칙이다. 좀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디미터 법칙은 "클래스 C의 메서드 f는 다음과 같은 객체의 메서드만 호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차 충돌 다음과 같은 코드를 기차 충돌train wreck이라 부른다. final String outputDir = ctxt.getOptions().getScratchDir().getAbsolutePath(); 여러 객차가 한 줄로 이어진 기차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조잡하다 여겨지는 방식이므로 피하는 편이 좋다. 위 코드는 다음과 같이 나누는 편이 좋다. Options opt..
질서정연하고 깔끔하며, 일관적인 코드를 본다면 사람들에게 전문가가 짰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반대로, 코드가 어수선해 보인다면 프로젝트 전반적으로 무성의한 태도로 작성했다고 생각할 것이다.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며, 의사소통은 전문 개발자의 일차적인 의무다. 코드는 사라져도 스타일과 규율은 사라지지 않는다! 적절한 행 길이를 유지하라 소스코드는 얼마나 길어야 적당할까? 500줄을 넘지 않고 대부분 200줄 정도인 파일로도 커다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실제로 전문 자바 프로젝트들(JUnit, FitNesse, Time and Money 등)이 이렇게 구현되어있다) 신문 기사처럼 작성하라 좋은 신문 기사는 최상단에 표제(기사를 몇마디로 요약하는 문구), 첫 문단에는 전체 기사 내용을 요약..
나쁜 코드에 주석을 달지 마라. 새로 짜라. - 브라이언 W.커니핸, P.J.플라우거 주석은 필요악이다.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지 못해,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쓰는 것이다. 주석은 언제나 실패를 의미한다. 주석 없이는 자신을 표현할 방법을 찾지 못해 할 수 없이 주석을 사용한다. 그래서 주석은 반겨 맞을 손님이 아니다. 주석이 오래될수록 코드에서 멀어져서 거짓말을 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코드는 유지보수를 해도, 주석을 계속 유지보수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코드에 주석을 추가하는 일반적인 이유는 코드 품질이 나빠서이다. 깔끔하고 주석이 거의 없는 코드가, 복잡하고 어수선하며 주석이 많이 달린 코드보다 훨씬 좋다. 주석으로 설명하려 애쓰는 대신에 그 난장판을 깨끗이 치우는 데 시간을..
함수를 만들 때 최대한 ‘작게!’ 만들어라. // bad public static String renderPageWithSetupsAndTeardowns( PageData pageData, boolean isSuite) throws Exception { boolean isTestPage = pageData.hasAttribute("Test"); if (isTestPage) { WikiPage testPage = pageData.getWikiPage(); StringBuffer newPageContent = new StringBuffer(); includeSetupPages(testPage, newPageContent, isSuite); newPageContent.append(pageData.getCont..
의도를 분명히 밝혀라 변수의 존재 이유, 기능, 사용법 등이 변수/함수/클래스명에 드러나야 한다. 따로 주석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의미를 함축하거나 독자(코드를 읽는 사람)가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지 말자. // Bad public List getThem() { List list1 = new ArrayList(); for (int[] x : theList) { if (x[0] == 4) { list1.add(x); } } return list1; } // Good public List getFlaggedCells() { List flaggedCells = new ArrayList(); for (int[] cell : gameBoard) { if (cell[STATUS_VALUE] == FLA..
일정에 맞추기 위해 나쁜 코드들을 방치하고는 '나중에 고쳐야지'라고 생각한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하지만 Later equals never - LeBlanc's law (나중은 절대 오지 않는다 - 르블랑의 법칙) 난장판을 품는 데에 드는 비용 초기에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던 프로젝트가 1~2년 만에 달팽이처럼 느린 페이스로 진행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쁜 코드로 짠 프로그램에 가해지는 변경사항은 어느것 하나 사소하지 않다. 나쁜 코드가 쌓일 수록 그 팀의 생산성은 떨어지고 이윽고 0에 수렴한다. 관리팀은 인력을 추가하려 한다. 하지만 새 팀원은 구조를 이해하지 못한다. 거기다 그 팀은 '새 인력을 투입했으므로 생산성이 늘겠지'라는 압박을 받는다. 결과, 나쁜 코드는 더 쌓인다. 더러운 코..